
김 의원은 “특수학교 설립이 목적인지? 한방병원 무산이 목적인지? 진짜 속내는 무엇인지 분명히 해야 할 것”이라며 이같이 요구했다.
김 의원은 “이미 2014년 이전부터 주민반대가 심화되고 있었지만, 조 교육감은 자신이 직접 나서서 주민들을 설득하기보다 특수학교 학부모들을 전면에 내세우고 자신은 그 뒤에서 사태를 관망하고만 있었다”며 “여론에 떠밀려 한방병원은 사실상 무산되고, 특수학교 설립을 둘러싼 갈등의 골은 오히려 안으로 더 깊이 파고드는 상황에서 조 교육감은 여전히 여론 뒤에 숨어만 있고 갈등을 치유하기 위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”고 비판했다.
김 의원은 “강서구 특수학교 설립은 처음부터 조 교육감 의지에 달린 문제였다”며 “주민들과 특수학교 학부모 간 대립구도만 만들어놓고, 당국은 수수방관하는 행태를 되풀이하지 말라”고 지적했다.
김 의원은 “조 교육감은 특수학교 학부모들과 만나서는 공진초 부지를, 지역주민들과 만나서는 대체부지를 이야기하는 이중플레이를 벌이면서 오히려 갈등만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해왔다”며 “기만적인 이중플레이로 갈등을 조장했다면, 그것을 풀어야 하는 것도 조 교육감의 책임”이라고 지적했다.
김 의원은 “주민반발이 심해지자 타협적 대안으로 대체부지를 먼저 찾기 시작했던 것도 조 교육감”이라며 “‘도와 달라’는 조 교육감의 요청을 받아들여 각고의 노력 끝에 대체부지가 사실상 확보되어 가는 와중에 돌연 입장을 바꾼 이유는 무엇인지 여전히 미스테리”라고 말했다.
김 의원은 “칼자루를 쥐고 있는 조 교육감이 돌연 입장을 바꾸면서 주민과 학부모 모두가 윈윈하는 상생의 대안으로 여겨지던 대체부지만 날아가고 말았다”며 “결과적으로 주민들이 고대하던 한방병원만 무산되고, 특수학교 갈등은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간 정치적 효과로부터 조 교육감이 의도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지 속내가 궁금할 따름”이라고 말했다.
김 의원은 “장애인 특수학교와 지역주민의 숙원사업이 함께 할 수 없는 방정식이라면 그 배경에는 정치적 의혹만이 남을 수밖에 없다”고 말했다.